내가 낸 국민연금을 정말 받을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계속제기 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부합산 300만원 이상 국민연금을 받는 부부 수급자가 1천쌍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국민연금공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월 기준으로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을 받는 부부 수급자는 약 645,000쌍이고 이들의 평균 연금액은 월 약 986,000원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국민연금공단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2023년 4월말 기준으로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 수는 약 2,220만명입니다. 연금 수령액별로 살펴보면 월 20만원 미만 수령자는 전체 11.65%, 100만원 이상 수령자는 10.36%입니다. 그리고 전체 수급자의 42.43%가 매월 20만원~40만원의 국민연금(노령연금)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 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내 국민연금 수령액은 가입기간, 연금납입액, 그리고 가입기간중 소득월액평균값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국민연금공단에서 공시한 연금 예상수령액표에 따르면 가입기간 20년이고 매월 연금을 198,000원을 납입한 사람이 소득월액이 220만원일 때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약 51만원입니다.
국민연금 납부요율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모두 소득의 평균 9%입니다. 다만, 직장가입자는 사업자가 4.5%를 납부하고 본인이 나머지 4.5%를 납입합니다. 그리고 지역가입자는 소득의 9%를 본인이 모두 납입합니다.
매월 납부하는 국민연금은 기준소득월액에 납부요율을 곱해서 계산됩니다. 2023년 적용되는 기준소득월액 하한은 37만원, 상한은 590만원입니다. 따라서 지역가입자이면서 기준월소득액이 590만원 이상이면 매월 531,000원을 납입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납입기간 조회 방법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과 납입기간, 납입금액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납입기간 조회 방법>
- 국민연금 홈페이지 접속
- 내연금 알아보기 메뉴 선택
- 인증없이 예상연금 알아보기 또는 인증하고 내연금 알아보기 선택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있는 '내연금 알아보기' 서비스를 통해서 예상연금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인증수단이 없어도 소득과 가입기간 등을 입력하면 대략적인 연금 수령액을 볼 수 있습니다.
본인인증 수단을 이용하면 보다 정확한 본인의 예산연금액과 가입내역 및 납부내역까지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장애연금, 유족연금 예상수령액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간편인증 또는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카카오페이 등을 이용해서 인증서 로그인을 먼저 진행합니다. 인증서 로그인을 완료하면 노령연금조회 내역을 상세하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위의 자료와 같이 예상연금액, 수급개시년월, 그리고 예상 총 납부월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메뉴 중 가입내역 조회를 선택하면 납부내역과 최초 가입한 시기부터 현재까지 기준소득월액과 납부한금액 사업장이름, 미납내역 등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조회 방법을 이용하면 내가 지금까지 납입한 국민연금 납입총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납입총액을 조회하고 나니 왜 사람들이 국민연금 고갈에 대해서 걱정하는지 이해가 됩니다. 현재까지 납입한 국민연금 납부액이 상당합니다. 무슨일이 있어도 꼭 국민연금을 받아야겠어요.
이상으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과 납입기간, 납부금액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새마을금고 예금 금리 높은 곳
새마을금고의 사태가 진정되면서 각 지역의 새마을금고의 예금 금리가 오르는 곳이 많아졌습니다. 건전성 악화에 대한 불안감으로 예금과 적금이 타 금융기관으로 유출 되는 것을 우려해서라
mysosik.tistory.com
특례보금자리론 신청자격 신청방법 금리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 서민과 주택 실수요층에게 이자 상승에 대한 부담없이 다양한 용도로 저금리 자금을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특례보금자리론입니다. 올해 1월부터 시작되어 1년간
mysosik.tistory.com
댓글